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전세계 곳곳에서 '한국어'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. <br> <br>어느 정도냐면 흑인 배우들이 나오는 외국 영화인데 대사는 한국어가 절반일 정도입니다. <br> <br>세계를 보다, 박선영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이달 초 공개된 나이지리아의 하이틴 영화입니다. <br> <br>현지 배우들이 출연한 작품인데도, 한국어가 들립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잘생겼어. 어떡해." <br> <br>[현장음] <br>“어머 대박.” <br> <br>대부분 장면에 한국어가 등장하고 한국 노래도 부릅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“니가 너무 좋아. 어떡해 어떡해. 니가 너무 예뻐. 어떡해 어떡해." <br> <br>예고편에 아예 '한국-나이지리아 영화'라고 적을 정도로 한국 영향을 받은 걸로 보입니다. <br><br>한국 문화를 배우는 외국인들은 ‘갓생’‘극혐’같은 속어까지 배우고 있습니다. <br> <br>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온라인 매체나 유튜버들은 '코리안 슬랭', 즉 한국 속어를 필수로 가르칩니다. <br> <br>[유튜버] <br>"'오운완'은 뭘까요? '오운완'은 오늘 운동 완료를 줄인 겁니다." <br> <br>[현장음/러시아어] <br>“극혐. 극혐이란 정말 싫어하는 겁니다. 와 정말 극혐이네." <br> <br>최근 국내에서 열린 한국어 말하기 대회엔 천 명 넘는 외국인이 참가했는데 역시나 줄임말이 인기였습니다. <br> <br>[악바로브 아자맛 / 우즈베키스탄] <br>"'막소사'자리에 가게 됐습니다. 막소사가 뭐냐고요? 저도 처음엔 무슨 의미인지 상상조차 못했습니다. 막소사는 막걸리, 소주, 사이다 조합의 신조어입니다." <br> <br>전문가들은 축약이 쉬운 한국어의 특성이 외국인들에게 흥미롭게 다가간 결과라고 분석합니다. <br> <br>[김중섭 / 경희대 국제교육원 원장] <br>"우리 언어는 뜻 글자가 아니고 음성 문자잖아요. 음성언어기 때문에 그런 것이 자유롭게 만들어질 수 있어요. 한국어를 잘하게 보이기 위해서 하는 방법도 되고요." <br> <br>정식으로 한국어를 배우려는 외국인 수도 크게 늘었습니다. <br><br>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세종학당의 해외 현황입니다. <br> <br>2007년 세 나라에서 시작한 세종학당은 지금은 88개 나라에서 운영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수강생도 740명에서 시작해 지금은 12만8000여 명이 됐습니다.<br> <br>다만, 정확한 뜻을 모르고 쓰다 논란이 되기도 합니다. <br> <br>지난해 일본에서 출시된 김치 제품명에 욕설이 담긴 사실이 알려져 비난이 쏟아졌고, 결국 제품명을 바꿨습니다. <br> <br>한국어를 사용하는 외국인이 많아지는 만큼, 올바른 한국어를 알리려는 노력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세계를 보다, 박선영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이기상 <br>영상편집: 000<br /><br /><br />박선영 기자 tebah@ichannela.com